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기사승인 2022-08-01 06:00:07
- + 인쇄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서울 용산구 동자동의 한 쪽방. 나무틀에 색을 칠한 단창이 끼어 있다. 창이 건물 복도로 나있어 지나가는 사람이 안을 볼 수 있다.   사진=박효상 기자

중세 유럽에서는 창의 숫자로 세금을 매겼다. 창은 곧 부의 상징이었다. 그 후로 500여 년이 흐른 지금, 유럽에서 약 8900km 떨어진 한국은 어떨까. 어쩌면 여전히, 창이 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고 있지 않을까. “창 있는 방은 26만 원, 없는 방은 18만 원” 창은 곧 돈. 사람이 살아선 안 되는 공간에서조차 돈에 따라 삶의 등급이 나뉘고 있었다.
쿠키뉴스 특별취재팀은 지난 6월부터 두 달간 서울·경기 지역의 고급주택과 아파트, 다세대 주택, 고시원, 쪽방을 돌며 이곳에 사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이를 통해 얻은 각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창에 비친 삶의 격차를 조명한다. 이번 기획을 통해 우리 사회가 창 없는 삶을 생각하고, 이들을 위한 논의를 시작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편집자주]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종로구 창신동의 한 쪽방. 꽃장식 뒤에 있는 갈색 사각형 틀이 창이다. 창이 있긴 하지만, 열리지 않아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사진=박효상 기자
서울 하늘에서 폭우가 쏟아지던 지난 6월30일. 한적한 대로변과 달리 용산구 동자동 빨간 벽돌 건물 앞에는 사람이 모였다. 돌계단 위에 쪼그려 앉은 이는 모두 쪽방 거주민. 지붕 아래 있어도 들이치는 비 탓에 거리로 나온 주민들의 옷이 금새 축축해졌다. “덥고 갑갑해서 도저히 방 안에 있을 수가 없어. 숨이 안 쉬어져. 차라리 길바닥이 시원해” 벽돌집 4층에 사는 박동윤(가명·66)씨가 나지막히 말했다. 젖은 셔츠 소매가 박씨 팔뚝에 달라붙었다.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동자동 한 쪽방. 방에 창이 없어 문을 열어놓고 생활한다. 벌레는 물론 도둑도 여러 번 들어왔다.   사진=박효상 기자
박씨가 방에 들어가지 못하는 이유는 하나다. 창이 없다. 이날 서울 평균 기온은 25.1도. 가파른 계단을 타고 간 박씨 방 온도는 29도까지 치솟았다. 습도는 75%였다. 손바닥만 한 선풍기가 비틀거리며 뜨거운 바람을 뱉어냈다. “사계절 내내 공기가 이렇다고. 밖이 보이는 창만 있어도 내려갈 필요가 없지” 무거운 공기에 박씨 한숨이 섞였다. 다음 날 또 그다음 날에도 장맛비가 내렸고, 박씨는 돌계단 위에 앉아 있었다.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김정임씨가 사는 창신동 쪽방. 커튼 뒤에 창이 있다. 빛이 들어올 수 없어 불을 끄면 암흑이 된다.   사진=박효상 기자
34 그리고 1

‘여기 창이 있으면 어떨까요’ 질문을 들은 김정임(가명·여·68)씨가 손끝을 펴 방 안 깊숙이 박힌 벽을 가리켰다. “이거야. 이게 창이야” 서울 종로구 창신동 쪽방촌 가장 어두운 곳에 김씨의 창이 있었다. “바람이고 벌레고 냄새고 들어올 수 있는 모든 게 여기로 들어와. 그래서 내가 막아놨어” 멋쩍게 웃던 김씨가 이내 고개를 돌렸다.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용산구 후암동 한 쪽방. 이곳 역시 불을 끄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이곳에 사는 김모씨가 휴대폰 불빛에 의지하고 있다.   사진=박효상 기자
볕이 따갑게 내리쬐던 6월21일 오후 1시. 바깥과 달리 김씨의 쪽방은 컴컴해 조도계가 작동하지 않았다. 형광등 켜고 잰 조도는 103룩스(㏓), 몸을 반대쪽으로 돌리면 조도계 숫자는 이내 두 자릿수로 떨어졌다. 비상계단이나 창고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창만 34개 달린 경기 광주시 한 고급주택. 이곳 3층 거실에서 관측한 조도 1만9820룩스와 비교하면 김씨는 너무나 미약한 빛 아래 살고 있었다. “창이 1개 있지만, 결국 없는 거지 뭐” 빛까지 빨아들이는 4.95㎡(1.5평)의 블랙홀에서 김씨가 말했다.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서울 관악구 봉천동 한 고시원. 손바닥 크기의 창을 열면 고시원 복도가 나온다.   사진=이소연 기자
0.19 그리고 159.48

노숙 생활을 하던 구영석(가명·50)씨. 거리에서 자던 그가 가진 것이라곤 파랗고 넓은 하늘뿐이었다. 구씨는 어렵게 노숙 생활을 청산하고 서울역 근처 고시원에 들어갔다. 더 이상 비와 눈을 맞진 않지만, 그의 하늘은 0.19㎡로 작아졌다. “창을 열면 옆집 벽밖에 안 보여요” 구씨가 손을 펼쳐 들고 설명했다.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동자동에 있는 한 쪽방 건물 공용 주방. 돌담이 바로 앞에 있어 창을 열어도 환기가 되지 않는다. 음식 냄새와 연기는 모두 쪽방 안으로 들어간다.   사진=박효상 기자
“창문 크기가 손바닥 두 개 정도예요. 좁고 어두운 곳에 있으니까 사람이 금방 우울해지거든요. 바깥 풍경이라도 보고 싶은데 벽만 보이니까 더 답답하죠. 굳이 창을 열어놓고 거기 벽이 있다는 걸 확인하는 게 싫어서 닫고 살았어요” 말을 하던 구씨가 허탈하게 웃었다. 고시원과 옆집의 건물 간 이격거리는 고작 1m였다.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1m도 채 되지 않는 동자동 쪽방 건물 이격거리.   사진=박효상 기자
현재는 용산구 갈월동 고시원으로 옮긴 구씨. 창 면적은 0.36㎡로 늘어났지만, 이것을 통해 보는 것은 여전히 회색 벽이다. 같은 구 내 한 고급 주택의 창 면적은 무려 159.48㎡. 그곳에선 청량한 하늘과 반짝이는 한강이 동시에 펼쳐졌다.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여름의 시작이었다.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종로구 명륜동 한 원룸. 창을 통해 찬 바람이 들어와 책장으로 막아놓은 상태다.
20 그리고 85

“오래된 원룸들 창이 비슷하죠. 환기 어렵고, 단열도 안 되고요. 대학가에서 20대들이 살만한 좋은 집은 거의 없잖아요” 청춘이라고 모든 걸 견딜 수 있는 건 아니었다. 특히 추위는 참을 수 있는 종류가 아니란 걸 조승호(가명·26)씨는 자취하고 난 뒤 깨달았다. “한겨울에는 창을 통해서 냉기가 들이닥치거든요. 근데 방이 좁아서 침대를 멀리 둘 수 없는 거예요. 그래서 창과 침대 사이에 책장을 놓고 살아요” 16.5㎡(5평), 월세 35만원. 많은 걸 포기했지만, 내야 할 돈은 줄어들지 않았다.

위 사진은 360도 VR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입니다. 마우스를 좌우로 돌려보세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쿠키뉴스 기사원문(클릭)에서 확인해보세요.
“물가가 너무 올랐어. 고추장 하나에 6000원 하던 게 지금은 1만3000원이야” 올해 85세. 오랜 세월 갖은 풍파에 다져진 이용규씨(가명)에게도 두려운 게 있다. 돈. “저 창이 참 웃긴 게 여름엔 바람 한 점 안 들어와서 덥고, 겨울엔 찬 바람이 쌩쌩 불어서 춥단 말야” 가로 60㎝, 세로 50㎝ 크기의 창. 언제나 저 창이 문제였다. 지난겨울엔 4.95㎡(2평) 남짓한 방에서 에너지 비용이 5만원 넘게 나왔다. “재난지원금이 40만원 나왔는데 그거 가지고 다음 달까지 버텨야 해. 선풍기 틀기도 겁 나” 동자동 쪽방촌 계단에 앉은 이씨가 손으로 연신 부채질을 해댔다.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월세 18만원 쪽방부터 100평 고급 주택까지 [빈부격,창①]

창에 비친 불평등 [빈부격,창]
월세 30만원, 햇살 값은 50만원 [빈부격,창②]
사람 팔자, 창이 바꾼다 [빈부격,창③]
쪽방 선풍기는 더 비싸게 돌아간다 [빈부격,창④]

민수미 기자 min@kukinews.com

도움 한국언론진흥재단-세명대 기획탐사 디플로마 과정

기사모아보기
친절한 쿡기자 타이틀
모아타운 갈등을 바라보며
오세훈 서울시장이 역점을 둔 도시 정비 사업 중 하나인 ‘모아타운’을 두고, 서울 곳곳이 찬반 문제로 떠들썩합니다. 모아타운 선정지는 물론 일부 예상지는 주민 간, 원주민·외지인 간 갈등으로 동네가 두 쪽이 난 상황입니다. 지난 13일 찾은 모아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