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나절만에 불발된 미디어법 4자회담

반나절만에 불발된 미디어법 4자회담

기사승인 2009-07-03 17:24:01


[쿠키 정치] 민주당이 3일 한나라당이 제안한 미디어법 관련 4자 회담을 전격 수용, 대화의 물꼬가 트이는 듯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미디어법을 6월 국회 중 처리한다는 전제가 없이는 만나지 않겠다”고 밝혀 논의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박병석 정책위의장은 오전 확대간부회의에서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가 제안한 미디어법 관련 4자 회담에 응하겠다”고 밝혔다. 4자 회담은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정책위의장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간사가 참여하는 회의체로 지난달 28일 안 원내대표가 제안했다.

박 정책위의장은 또 “민주당이 통 크게 수용한만큼 성실하게 대화에 임하겠다. 모든 것을 열어놓고 논의하겠다”고 말해 일부 쟁점 사항에 양보할 의사가 있는 게 아니냐는 전망도 나왔다. 박 정책위의장은 발언 직전에 안 원내대표와 전화통화를 가졌다.

그러나 안 원내대표는 6시간 뒤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박 정책위의장의 발언을 듣고 깜짝 놀랐다”며 “나는 6월 국회에서 반드시 처리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4자 회담을 할 수 있다고 밝혔는데 뭔가 혼선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민주당이 6월 처리에 약속하지 않았기 때문에 4자 회담은 어떤 형태로든 이뤄질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4일 원내대표 회동에서도 미디어법은 논의 의제로 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나라당은 민주당의 4자회담 수용이 비정규직법 미처리에 따른 비판 여론을 분산키고, 국회 파행에 따른 부담을 희석시키려는 지연전술이라고 판단했다. 안 원내대표는 “시간끌기 방편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미디어법을 이번 회기내에 처리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실제 회담이 열려도 돌파구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특히 여야 모두 비정규직법과 미디어법은 분리대응한다는 방침이어서, 비정규직법 처리에 극적 합의를 하더라도 미디어법으로 계속 대치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손병호 노용택 기자
bhson@kmib.co.kr

▶뭔데 그래◀ 예비군 동원훈련 연장 적절한가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손병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