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던 이들 지역이 지난해말 모두 평균 연령 30대에 진입했다. 울산 북구는 2.56세가 늘어나 31.76세, 광산은 2.12세가 증가한 31.80세였다. 또 구미와 시흥도 각각 2.19세와 2.89세가 늘어 32.15세와 32.56세였다. 이들 젊은 도시들조차도 저출산과 고령화 태풍을 비껴가지 못한 것이다.
민주당 김희철 의원은 최근 행정자치부로부터 국정감사 자료를 제출받아 분석한 뒤 깜짝 놀랐다. 평균연령이 20대 후반이던 이들 4곳의 지자체가 아예 없어진 것은 물론, 2003년 100곳으로 가장 비율이 높았던 30대 초반 지자체는 35곳으로 급감했다. 반면 79곳이던 30대 후반 지자체는 105곳으로 급증했다. 50곳이던 40대 초반 지자체도 59곳으로 늘었다.
무엇보다 2003년에 1곳에 불과했던 40대 후반 지자체가 무려 33개로 급증해 있었다(통합 지자체 2곳 제외). 전국에서 평균 연령이 5년 전보다 낮아진 곳은 신도시 개발로 인해 0.72세가 줄어든 경기 화성(현 33.26세) 1곳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22일 “생산활동이 왕성한 곳들조차 예외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화된 것은 2006년부터 실시된 정부의 저출산 대책이 거의 안먹히고 있다는 반증”이라며 분석했다. 이어 “급속한 고령화 현상이 현실이 되고 있고, 향후 생산활동 차질, 세수 감소, 국민연금 제도 유지 어려움 등의 각종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어 보다 강도높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지자체간 평균연령 양극화 현상도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에 최고령 지자체인 경북 의성(45.12세)과 최소령 지자체인 울산 북구(29.20세)의 나이차는 15.92세였다. 그러나 지난해 말 최고령인 경북 군위(49.11세)와 울산 북구(31.76세)간 나이차는 17.35세로 확대돼 있었다.
김 의원은 “지자체간 연령차이는 더 커질 가능성이 높고 유령 도시들이 속출할 수 있다”면서 “젊은층이 머물 수 있도록 자족기능을 강화하는 쪽으로 대책을 세워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