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산불 이재민 보금자리 지원 속도…모듈러주택 입주 시작

경북도, 산불 이재민 보금자리 지원 속도…모듈러주택 입주 시작

김학홍 부지사, “산불피해 극복 국비 확보에 총력!”

기사승인 2025-04-20 09:38:13
김학홍 행정부지사가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권정생 어린이문학관 부지에 설치한  ‘모듈러 주택’을 설명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는 초대형 산불로 실의에 빠진 이재민의 신속한 주거 안정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경북형 모듈러주택’ 입주가 지난 18일부터 시작됐다고 20일 밝혔다.

‘경북형 모듈러주택’은 기존 이재민 임시주택 개념을 확장하고 층층이 쌓거나,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해 손쉬운 재사용을 위한 신개념의 이재민 임시주택이다. 

경북도는 안동 18동, 의성 42동, 청송 20동, 영양 41동, 영덕 90동 등 총 211동의 ‘모듈러주택’을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공급할 계획이다. 

이번에 입주한 ‘모듈러 주택’1호는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권정생 어린이문학관 부지에 설치한 18동이다. 

2층으로 구성한 모듈러주택은 호당 30㎡(9평 정도, 중복도형)규모로 현관, 욕실, 침실, 발코니를 갖췄다.  

내부에는 싱크대, 냉난방기, 인덕션이 설치됐고, 구호 물품으로 지원받은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밥솥 등 필수 가전제품이 제공된다. 

이날 입주에는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 권기창 안동시장 등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모듈로주택에 관심을 보였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임시대피소에서는 고령의 어르신들이 장기간 머무르는 것은 쉽지않을 것”이라며 “경북도가 선제적으로 모듈러주택을 제공해 신속히 입주할 수 있어 이재민에 대한 근심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듈러주택이 새로운 임시 주거 모델로써 행정안전부에서도 각별한 관심을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모듈주택에 입주한 안동시 일직면은 이번 초대형 산불로 주택 476동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다.

피해 주민들은 임시조립주택으로 226동을 신청한 사황이다. 

경북도는 이번에 공급하고 있는 모듈러주택을 임시 주거 사용 이후에는 시군 수요를 반영해 마을 공용시설, 계절근로자 숙소, 농어촌 민박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경북형 모듈러주택이 산불 피해 이재민의 주택 회복까지 안전하고 쾌적한 보금자리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겠다”며 “앞으로도 만일의 재난 시 신속히 설치해 구호에 사용하는 선순환 체계의 이재민 임시 주거 대응 시스템을 개편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학홍 행정부지사(왼쪽)와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가운데), 권기창 안동시장(오른쪽)이 모듈러주택을 둘러보고 있다. 경북도 제공.

한편, 지난 18일 정부가 발표한 ‘2025년도 추가경정예산안’에 경북 산불 피해 복구와 지역사회 회복을 위한 예산이 대거 반영됐다.

경북도는 이번 추경에 주거·산림·농업·기반 시설 등 전 분야에 걸친 예산이 반영됐고, 소상공인을 위한 경영 안정 자금, 일자리 회복 예산도 포함돼 실질적 회복을 위한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북 지역은 지난 3월 22일 시작된 초대형 산불로 인해 26명이 희생됐으며, 산림 4만5157ha, 주택 3766동, 농작물 3414ha, 시설하우스 364동, 축사 212동, 농기계 5506대, 어선 16척, 문화재 25개소가 전소되는 등 잠정 피해액만 1조 5000억원에 이르는 역대 최대의 피해를 입었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이번 정부 추경안은 단순한 복구 수준을 넘어 피해 주민의 삶의 회복과 지역 공동체 재건을 실질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며“앞으로도 국회에 증액 요구한 산불피해지원 등 관련 사업이 반영될 수 있도록 추가 국비 확보에 총력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과 김학홍 행정부지사, 권기창 안동시장이 모듈러주택에 입주한 주민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경북도 제공.

안동=노재현 기자 njh2000v@kukinews.com
노재현 기자
njh2000v@kukinews.com
노재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