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바이오 분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 부처의 역량을 모을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신약개발 등 바이오 연구개발(R&D) 10대 중점 분야를 선정하고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일 제2차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를 개최했다.
지난 1월 정부는 대한민국 바이오를 이끄는 구심점으로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출범하고 글로벌 바이오 강국 도약을 위한 국가 전략으로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위원회는 산하 3개 분과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바이오 기업협의회를 개최해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번 회의는 국가바이오위원회가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바이오 혁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이뤄졌다.
국가바이오위는 이번 회의에서 정부 바이오 R&D 분야가 확대되고 있음에도 부처별 정책이 분절적인 탓에 핵심 성과 창출에 한계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바이오 R&D 10대 중점 분야를 선정해 내년 정부 R&D 예산 편성에 참고할 예정이다.
10대 중점 분야는 △ 인공지능(AI) 신약개발 △ 바이오헬스 데이터 구축 연계·활용 △ 방사성의약품 △ 첨단뇌과학 △ 첨단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 혁신 △ 그린바이오 소부장 △ 합성생물학 △ 미래 식량자원 △ 감염병 치료제 △ 탄소저감형 바이오 소재 및 에너지 등이다.
이 권한대행은 “바이오 기술을 중심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이하는 상황에서 핵심 바이오 기술을 전략화하고 있는 세계 선도국과 경쟁하기 위해 전 부처의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면서 “범부처 차원의 바이오 통합 R&D 전략을 통해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 규제 혁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