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고독사 위험군 7.6%…무직·쪽방 거주자 위험 비율 높아

대구시, 고독사 위험군 7.6%…무직·쪽방 거주자 위험 비율 높아

‘2024년 고독사 위험군 실태조사’ 결과 발표

기사승인 2025-07-02 10:20:12
쿠키뉴스 그래픽.

대구시가 ‘고독사 위험군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남성과 노년층, 쪽방 거주자, 기초생활수급자 등의 위험군 비율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간 지역 내 7만833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고독사 위험군 실태조사 결과를 2일 발표했다. 1인 가구 증가와 사회적 고립 심화에 대응해 고독사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굴하고 선제적 복지개입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됐다.

조사대상은 중년(40~49세) 1인 가구 5만5213가구, 2023년 미조사된 장년층(50~64세) 및 일부 청년 취약계층 2만3117가구 등이다.

전체 응답자 중 고독사 위험군 비율은 7.6%로 집계됐다. 남성 위험군 비율은 9.3%로 여성(5.5%)보다 1.7배 높았고, 연령별로는 65세 이상 노년층이 9.6%로 가장 높았다. 장년층(50~64세)은 8.2%, 중년층(40~49세)은 7.2%였다. 

주거 형태별로는 쪽방·여관(24.5%), 고시원(22.1%), 원룸(15.2%) 순으로 위험군 비율이 높았다. 가족관계에서는 이혼(14.1%)과 사별(10.8%) 등 비자발적 단절 경험자에서 고위험군 비율이 높았고, 무직자는 17.6%, 질병으로 인한 무직은 22.6%로 전체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등 복지수급자 고위험군 비율은 31.7%로 비수급자(5.5%)의 6배에 달했다. 이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계층일수록 심리적·경제적 고립도가 높다는 점을 방증한다.

대구시는 고위험군에 대해 즐거운 생활 지원단의 안부 확인, AI안심 올케어, 생명의 전화, 24시간 AI돌보미 등 맞춤형 지원책을 시행 중이다.

또 주거 취약지역인 쪽방과 고시원 등지에 대한 집중조사 체계를 강화하고, 복지 수급정보와 연계해 고독사 예방 시스템을 정비할 계획이다.

김태운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고독사 예방은 인간의 존엄을 지키는 사회적 책임”이라며 “시와 구군이 협력해 실효성 있는 대응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구시는 내년 2월부터 9개월간 기초생활수급자 및 기초연금 수급 노인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추가 실태조사를 진행 중이다. 
최재용 기자
ganada557@hanmail.net
최재용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