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대변인 논평으로는 처음으로 책임론을 공식제기했다. 김 대변인은 “300만 추모 인파의 피맺힌 울음소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명박 정권은 온몸으로 새겨들어야 한다”며 “노 전 대통령의 억울한 죽음에 책임지고 사퇴할 사람은 사퇴하고, 사과할 사람은 사과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청와대와 검찰 모두를 향한 요구”라고 덧붙였다. 검찰 수사라인상의 책임자 처벌과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를 동시에 요구한 것이다.
앞서 송영길 최고위원은 평화방송에 출연, “노 전 대통령의 서거는 현 정권의 정치보복적 살인행위로 이 대통령이 사과해야 한다”며 “법무장관 검찰총장 중수부장, 중수부 1과장도 해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송 최고위원은 특히 검찰측의 피의사실 공표가 형법상 범죄행위인만큼 이 부분을 수사해 혐의가 드러날 경우 사법처리까지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춘천에서 칩거해온 민주당 손학규 전 대표도 이 대통령의 책임론을 거론했다. 손 전 대표는 이날 청와대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장례식 이후 국민들의 격앙된 분노가 표출될 수 있다”며 “이명박 정부가 무엇이 잘못됐는지, 무엇을 반성해야 하는지를 고민해 더 이상의 비극이 나오지 않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번 주말 지도부 회의를 통해 서거 관련 책임소재 규명 문제를 논의키로 했다. 당에서는 검찰의 과잉수사 문제를 파헤치기 위해 특별검사제 도입이나 국정조사 중 적어도 한 가지는 반드시 관철시켜야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정세균 대표부터 ‘강한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