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정치]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19일 "미디어법의 20일 직권상정 처리를 반대한다"고 밝혀 파장이 일고 있다. 이에 따라 20일 중 쟁점법을 일괄 처리하려던 한나라당 지도부의 전략에 차질이 생겼다.
박 전 대표는 측근인 이정현 의원을 통해 "본회의 참석 여부를 밝힌 적이 없고 표결을 해도 반대표를 던질 것"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20일 미디어법 표결 처리 방침을 밝히며 박 전 대표도 표결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한 반론이다.
박 전 대표 측 홍사덕 의원은 "미디어법 수정안이 국민들에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고, 야당과도 더 노력할 시간이 남았음에도 마치 원안을 직권상정할 것처럼 알려진 데 박 전 대표가 우려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다만 홍 의원은 "합의하려고 노력했는데도 안돼서 직권상정하는 것까지 박 전 대표가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여야 간 첨예한 대치 상황에서 여당의 대주주인 박 전 대표가 미디어법 조기 강행 처리를 명시적으로 반대하고 나선 것은 미디어법 처리 향배에 새로운 변수가 될 전망이다. 당장 한나라당 안 원내대표는 박 전 대표 발언 뒤 당초 방침을 바꿔 "20일에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와 회동을 갖겠다"고 추가 협상 의지를 내비쳤다.
또 박 전 대표 발언은 김형오 국회의장이 미디어법을 직권상정하는 데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미디어법 처리 계획이 차질을 빚게 되면서 당내에서 친이(친이명박), 친박(친박근혜) 간 파열음이 다시 고조되는 등 계파 갈등이 본격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한편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미디어법 강행 처리 움직임에 항의하기 위해 국회 당대표실에서 무기한 단식 농성에 돌입했다. 정 대표는 또 이명박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갖자고 제의했다.
앞서 여야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본회의장을 다시 점거했다. 국회 사무처는 물리적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자 당직자와 보좌진의 국회 본관 출입을 통제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손병호 노용택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