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영남지역 대형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면적이 10만 400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18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이번 대형산불 피해지역 조사결과와 복구계획을 밝혔다.
의성·안동·청송 피해면적 압도적
산림청은 경북·경남·울산 산불지역 정밀조사 결과 경북 9만 9289㏊, 경남 3397㏊, 울산 1190㏊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시군별로는 의성이 2만 8853㏊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었고, 이어 안동 2만 6709㏊, 청송 2만 655㏊, 영덕 1만 6208㏊, 영양 6864㏊, 산청 2403㏊, 울주 1190㏊ 하동 994㏊ 순이었다.
최종 피해면적은 추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확정할 예정이다.
산불 피해조사는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8일까지 지자체가 1차로 시행했고, 이후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이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지자체와 같이 2차 현장확인을 진행했다.
산림청은 이번 산불피해 면적이 비화로 인한 빠른 확산과 더불어 진화 이후 열기에 따른 추가 고사지역 등이 늘면서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최근 산불 피해면적 축소 논란에 대해 산불진화 완료 당시 산불영향구역은 4만 8000㏊로, 이는 산림복구를 위한 현장조사로 파악한 통해 파악된 산불피해면적과 활용목적 및 산정방식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순간최대풍속 27㎧ 이상의 극한기상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산불이 꺼진 지역은 화선이 존재하지 않아 산불영향구역으로 포함되지 않았고, 강풍이나 연무로 화선 관측장비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부연했다.
박 국장은 “산불영향구역은 산불 진화전략 수립을 목적으로 공중촬영 영상과 지상관측으로 조사한 화선경계를 표시한 구역이고, 산불피해면적은 복구를 목적으로 실제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한 영역”이라며 “산불 이후 열해로 인해 고사하는 나무 등 추후 집계에 차이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산불 피해복구 긴급 추진
산림청은 이번 산불로 인해 산사태, 토사유출 등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집중조사 지역 4207곳을 대상으로 지난 11일까지 긴급진단을 완료했다.
조사지역은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응급복구를 실시하고, 생활권과 주요시설물 주변 산불 피해목을 신속히 제거할 방침이다.
산림복원은 피해정도에 따라 자연복원, 생태복원, 조림복원 등 현장에 맞는 복원을 진행하고, 특히 산불에 강한 혼합림 조성을 추진한다.
아울러 산사태 우려지역은 장마 전 신속복구에 나서고, 생활권은 긴급 방수포 설치, 물길 돌리기 등으로 2차 피해를 막을 방침이다. 토사를 막는 사방댐도 최대한 빨리 설치를 시작해 연내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한다.
산불피해지역의 체계적·합리적 복구를 위해 피해주민, 산주, 복원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중앙·지역단위 산불피해지 복원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안전·환경·생태와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산불피해지 복구·복원 기본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이밖에 향후 초대형 산불에 대비해 강풍, 연무에도 화선 관측을 할 수 있도록 고정익기, 중·고고도 드론, 인공위성 등의 영상을 활용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할 방침이다.
박 국장은 “산불 취약지역은 5년마다 위험도 평가를 실시해 관리할 계획”이라며 “침엽수림은 강도 높은 솎아베기를 실시하고, 낙엽 등 연료물질을 제거해 산불 위험성을 낮추겟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