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40세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늙고 아프게 되면 요양보호사에게 의존할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로 사는 가족과 주 1회 이하로 연락하는 비율은 절반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외 긴급 상황 시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은 40%에 달했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5~30일 전국의 만 4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1일 발표한 ‘지역사회 돌봄에 대한 인식과 수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9%는 병들거나 늙었을 때 ‘요앙보호사가 돌볼 것’이라고 응답했다. 돌봄이 필요할 경우 배우자가 돌봐줄 것이라는 응답은 남성(49%)이 여성(22%)보다 2배 넘게 높았다.
따로 사는 가족과 주 1회 이하로 연락하는 비율은 49%였으며, 가족 외 긴급 상황 시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은 40%로 조사됐다. 20%만 자주 교류하고 있는 이웃이 있었으며, 39%는 이웃과 가끔 인사만 나눈다고 답했다.
돌봄 필요 시 희망 거주 형태는 ‘현재 살고 있는 집’(47%)과 ‘돌봄 받기 좋은 지역사회 내 주거시설’(32%)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민 79%가 내가 사는 곳에서 거주하며 돌봄 받기를 원하는 셈이다. 노인복지시설 입소를 희망하는 경우는 7%에 그쳤다. 노후에 ‘다양한 연령이 함께 거주하는 주거단지’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59%였다. 이는 ‘비슷한 또래만 있는 노인 전용 주거단지’(28%)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선호하는 임종 장소는 자택이 48%로 가장 많았으며 종합병원(31%), 요양병원(12%), 요양시설(7%)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실제 임종 장소가 될 가능성이 높은 장소는 자택(21%)보다 종합병원(29%)을 더 꼽았다. 응답자의 93%는 연명의료 중단을 원했다. 요양시설에 대해선 ‘긍정적’(58%)이라는 입장이 ‘부정적’(38%)이란 응답보다 높았다.
노인과 장애인에게 제공하는 돌봄 수준이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은 64%로 과반을 차지했다. 돌봄서비스 책임 주체는 ‘국가’라는 응답이 85%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족(60%), 지방 정부(45%), 지역사회(40%), 본인(36%) 순이었다. 노인돌봄서비스 확대를 위해 세금 지출을 늘리는 것에는 85%가 찬성했으며, 반대한다는 응답은 11%였다.
고령이나 질병으로 인해 먼저 필요할 수 있는 지원 서비스로는 ‘건강·의료 관리’가 61%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식사, 세면 등 일상생활 도움’(55%), ‘혼자 사는 사람의 안전 확인’(49%) 순이었다. 지난 1년간 병원 입원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17%였으며, 입원 중 ‘가족이나 친척, 지인이 무급으로 간병했다’는 응답이 51%로 절반을 넘었다. 간병인 고용은 7%에 그쳤으며, 하루 평균 간병비는 15만원이었다. 의료 관련 서비스 중 ‘재택의료센터 시범사업’ 이용 의향은 91%에 이르렀다.
이번 조사는 내년 3월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사업(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지역사회 돌봄에 대해 국민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실시됐다. 김용익 돌봄과미래 이사장은 “돌봄통합지원법 실시를 준비하고 있는 정책당국과 지자체가 조사 결과를 참고해 보건의료, 복지, 요양, 주거 등 지역사회 돌봄 분야별로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