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픈AI가 서울에 첫 사무소를 열고 국내 공식 진출한다는 계획을 26일 밝혔다. 오픈AI는 챗 GPT 개발사로 전 세계 주간 이용자 수(WAU) 5억명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이날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국내 언론과 만나 한국에 법인을 공식 설립했으며 향후 몇 달 내 서울에 첫 번째 사무소를 열어 국내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사무소 위치는 확정되지 않았으나 기업‧정부 등 핵심 이해관계자들과 협력을 추진할 인력 채용을 곧 시작할 예정이다. 현재 오픈AI는 아시아 지역에서 일본 도쿄와 싱가포르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는 지난 1년간 영국 런던, 아일랜드 더블린, 벨기에 브뤼셀, 프랑스 파리 등 11개 도시로 지사를 확대했다.
오픈AI는 한국 공식 진출 전에도 한국산업은행(KDB)과 국내 데이터센터 개발, 국내 스타트업 육성 등에 대한 금융 협력을 발표했다. 또 카카오, 크래프톤, SK텔레콤 등과 첨단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에 관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특히 한국 진출을 통해 국내 정책 입안자, 기업, 개발자 및 연구자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진정한 의미의 ‘한국형 AI’ 개발을 촉진할 것이라 설명했다. 이어 AI의 혜택이 폭넓고 책임감 있게 공유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다만 국내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침을 밝히지 않았다.
권 CSO는 이날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대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AI 정책 관계자들과 각각 만나 국가 AI 인프라 확대에 오픈AI가 협력할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고 밝혔다. 권 CSO와 한국 정관계 만남은 ‘오픈AI 포 컨트리즈’ 프로그램을 한국에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풀이된다.
오픈AI는 최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5GW(기가와트) 규모의 데이터 센터 클러스터를 짓는 등 대규모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해외 확장 프로그램 오픈AI 포 컨트리즈를 발표했다.
오픈AI는 최신 데이터를 공개하며 챗GPT 등 자사 AI 도구가 한국에서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챗GPT 등 오픈AI 제품의 주간 활성 사용자 수는 전 세계 5억명 이상이며 유료 기업 고객은 200만개 이상이다.
한국은 미국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챗GPT 유료 구독자를 보유한 국가다. 챗GPT의 한국 WAU는 지난 1년간 4.5배 이상으로 늘었다. 사용자 수 기준 전 세계 상위 10개국 중 하나라고 오픈 AI는 설명했다.
오픈AI API 플랫폼을 활용하는 한국 개발자 수 역시 전 세계 상위 10개국 중 하나이며 유료 기업 서비스 사용자 수는 전 세계 상위 5개국에 포함된다. 오픈AI는 한국이 경쟁력 있는 기술 산업, 기업과 학계를 아우르는 혁신 문화, 그리고 일반 대중의 일상생활 속 AI 도구 활용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세계에서 가장 AI 도입이 활발한 국가 중 하나라고 했다.
권 CSO는 한국에 대해 반도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AI의 전 영역을 아우르는 풀스택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하며 다양한 세대가 AI를 일상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AI 선도국이라고 평가했다.
권 CSO는 한국 외에 일본, 호주, 인도, 싱가포르 등을 순회 방문해 AI 인프라 구축 및 오픈AI의 소프트웨어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