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D-1… 창원 시내버스 노사 임금협상 '평행선'

파업 D-1… 창원 시내버스 노사 임금협상 '평행선'

28일 첫차부터 전면파업 예고…시민불편 현실화 우려

기사승인 2025-05-27 00:30:41 업데이트 2025-05-27 01:49:56

창원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협상이 파업 하루 전날까지도 접점을 찾지 못하면서 오는 28일부터 전면 파업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창원시는 27일 경남지방노동위원회 주관으로 2차 특별조정 회의를 개최해 노사 간 극적 타결을 시도한다.

창원시내버스노동조합은 지난 12일 조정신청 이후 22일 1차 조정이 결렬되자 23일 조합원 찬반투표를 통해 85.6%의 찬성으로 쟁의권을 확보했다. 조정기한 마지막 날인 27일 2차 조정마저 결렬되면 28일 첫차부터 시내버스 전면 운행 중단이 예상된다.

이번 협상은 '통상임금' 적용 문제가 핵심 쟁점이다. 노조는 대법원 판결에 따라 통상임금을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임금 8.2% 인상 △정년 63세→65세 연장 등의 요구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통상임금에 해당하는 각종 수당을 임금체계 개편을 통해 최소한으로 반영하고 관련 소송에 대해서도 노조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통상임금 소송 규모는 수백억원에 달해 대부분 운수업체가 존폐 위기에 놓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창원시는 노조의 요구를 전부 수용할 경우 인건비 상승률이 최대 26%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는 서울시 협상 사례를 창원에 단순 적용한 수치로 해당 비용은 매년 시민의 세금으로 충당될 수밖에 없다.

시 관계자는 "준공영제의 취지에 따라 처우 개선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노조의 요구는 과도한 수준"이라며 "만성 적자에 시달리는 시내버스 업계의 구조를 감안하면 시 재정 부담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전국적으로 서울, 부산, 울산, 경기, 제주 등에서 버스노조의 공동 파업이 예고된 가운데 창원시도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시는 전세버스 170대, 관용버스 10대, 임차택시 330대를 투입해 시민 불편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전세버스는 주요 간선노선 위주로 임차택시는 지선과 읍면지역에 투입되며 파업에 불참하는 마을버스 및 일부 시내외 겸업버스 36대는 정상 운행된다.

이종근 창원시 교통건설국장은 "노사 간 입장차가 여전히 크지만 시는 끝까지 중재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파업 관련 정보는 창원시 홈페이지, 창원버스정보시스템, SNS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시는 주요 정류장에 안내 인력을 배치하고 재난안내문자도 발송할 예정이다.
강종효 기자
k123@kukinews.com
강종효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