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오전 일본 하네다 공항에 도착해 3박6일 일정의 일본·미국 순방을 시작했다. 일본 언론은 이 대통령이 미국보다 먼저 일본을 찾은 데 주목하며 “이념보다 실익을 중시하는 실용외교”라는 평가를 내놨다.
교도통신은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한국 대통령이 다자 회의 참석을 제외하고 양자 외교 첫 방문국으로 일본을 택한 것은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도 “한국 대통령이 동맹국 미국보다 먼저 일본을 방문하는 것은 국교 정상화 이후 처음”이라며 양국 정상이 수교 60주년을 계기로 관계 강화 방침을 확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이 대통령이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한 뒤 조기 방일을 조율했다며 “취임일로부터 불과 80일 만에 (일본 방문이) 성사됐다”고 전했다. 닛케이는 “이념보다 실익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이 전례에 얽매이지 않고 (방문국을)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했다.
이 대통령은 아사히신문, 닛케이 등 일본 언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과거를 직시하되 미래로 나아가자”며 일본 측에 협력을 제안했다. 위안부·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선 “진실과 감정의 문제이며, 사실을 인정하고 사죄해 진심으로 위로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면서 “국가 정책을 쉽게 뒤집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은 이 발언에 대해 “(이 대통령이) 역사 문제를 둘러싼 과거 합의와 해결책을 답습하고 미래 지향적 (한일) 관계를 강조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대응 등을 고려해 일본과 안정적 관계를 구축하려는 의도”라며 “이념에 구애받지 않는 실용외교 자세를 나타냈다”고 했다.
다만 마이니치신문은 “향후 한국 내 여론을 의식해 일본에 강경 대응을 요구한다면 역사 문제가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한편 이 대통령은 24일 오전 한일의원연맹 소속 일본 정계 인사들을 만나 의견을 청취한 뒤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기 위해 미국으로 향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