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는 시민 안전과 재난 대응력 강화, 권한대행 체제의 안정적 시정운영을 위해 2025년 하반기 정기 조직개편을 단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권한대행 체제에서 처음 실시되는 것으로, 도심형 산불 등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신규 공공시설 개소에 따른 운영 준비를 위해 조직 기능을 대폭 강화한다.
먼저, 산림재난대응 조직이 전면 재정비된다. 최근 함지산 산불을 계기로 산불피해 대응체계 점검과 재난안전대책본부, 산불방지대책본부의 운영 일원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산림재난대응 기능을 맡던 산림녹지과를 환경수자원국에서 재난안전실로 이관하고, 산림관리과로 명칭을 변경해 재난안전실이 산불대응까지 총괄하게 된다.
또 지난 4월 창설된 재난안전기동대의 현장지휘와 지원을 위해 재난안전기동팀도 신설해 초기 대응력을 강화한다.
공공서비스 분야에서는 남구 캠프워커 헬기장 반환부지에 건립 중인 대구대표도서관이 올해 10월 개관을 앞두고 사업소를 신설,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운영 준비에 만전을 기한다. 대구도서관은 단순한 도서 대출을 넘어 지식·정보·문화가 어우러지는 지역 대표 명소로 만들어 갈 계획이다.
소방안전 분야에서는 7월 혁신도시에 대구소방학교가 개소해, 그간 중앙소방학교나 경북소방학교로 이동해야 했던 불편이 해소된다. 소방안전본부 내 전담팀을 설치해 전문 교육과 훈련을 강화, 시민들에게 질 높은 소방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의회 조직도 강화된다. 대통령령 개정에 따라 의정정책관 직급을 상향하고, 인사윤리담당관을 신설해 인사업무와 반부패·청렴정책, 감찰 업무를 강화한다. 의정정책관에는 관리팀을 신설해 예산·회계, 노후청사관리, 신청사 이전 준비 등 의정활동 지원도 확대된다.
이밖에 시장 직속기구의 정책 연계성을 높이고, 시정 핵심과제의 대외 협상력 및 부시장의 책임과 권한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조직들을 부시장 소관으로 전환한다.
군사시설이전정책관, 맑은물하이웨이추진단, 원스톱기업투자센터 등 한시기구의 존속기한도 2026년 10월까지 연장해 군부대 이전, 취수원 다변화, 미래신산업 투자유치 등 핵심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대구시 조직은 1단·3실·16국·1본부·6사업소 체계로, 시의회는 5담당관 9전문위원 체계로 개편된다. 개편안은 5월 19일부터 입법예고 후 6월 10일 대구시의회 심의를 거쳐 7월 10일 시행될 예정이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시(市) 역점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권한과 책임을 강화하고 산림재난대응 체계를 정비하는 등 시민안전도 소홀함 없이 챙겨나가겠다”며 “안정적인 시정 운영으로 시민행복과 대구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